Madden Julian Oscillation (MJO) 정의 (출처 및 상세정보: 기상청 지식 하일라이트) MJO는 전지구의 열대지역에서 발생하는 계절 진동 또는 파동이다. MJO는 이 지역에서의 기상변화에 주요한 원인이 되고, 상층과 하층의 풍향과 풍속, 운량, 강수, 해수면온도(SST)와 해면의 증발을 포함하는 대기와 해양의 여러 중요 요소의 변화를 일으킨다. MJO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기-해양 결합 시스템의 구성 요소이며, 전형적인 MJO 순환 또는 파동의 길이는 대략 30~60일이다 (Madden and Julian, 1971, 1972; Madden and Julian, 1994; Zhang, 2005) MJO는 원래 인도양과 태평양에서 강화되고 억제(suppressed)된 열대 강수역의 ..
[세계 각국의 수치예보모델 운영 현황] □ 지역 수치예보모델 구 분 국가별 분해능 / 연직층수 예보시간 비 고 한 국 30㎞ / L33 66시간 전지구모델내삽 10㎞ / L33 24시간 3차원변분법 5㎞ / L33 24시간 10㎞ 내삽 미 국 13㎞ / L50 (RUC) 12시간(3시간창) 3차원변분법 12㎞ / L60 84시간(4회) 90㎞/L16 48시간(2회)MOS용 8㎞ / L48 72시간(4회) 일 본 20㎞ / L40(Top 10hPa) 51시간(2회) 4차원변분법 5㎞ / L40(Meso) 15시간(8회) 4차원변분법 영 국 0.11도 / L38(Meso) 72시간 4차원변분법 카 나 다 24㎞ / L28 48시간 3차원변분법 호 주 0.375도 / L29(전체영역) 72시간 3차원최적내삽법..
◇ 집중호우란 집중호우는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시간과 공간적 집중성이 매우 강한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래 이 용어는 언론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현재는 거의 기상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집중호우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1시간에 30㎜ 이상이나 하루에 80㎜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리는 정도를 말한다. 집중호우는 지속시간이 수십 분에서 수 시간 정도이며 비교적 좁은 지역(보통 반경 10∼20㎞ 정도)에 집중적으로 내리고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기도 한다. 태풍이나 장마전선, 발달한 저기압 등에 동반돼 2∼3일간 계속 내리기도 한다. 이들 원인 가운데 이번 비는 발달한 저기압에 의해 비롯된 것으..
윈드프로파일러 (Wind Profiler) 지금까지의 상층대기의 바람에 관한 정보는 주로 레윈존데에 의한 고층관측에 의존하여 왔다. 현대적 예보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관측자료의 시공간 해상도의 증가가 필수적이나 고층관측은 하루 2~4회의 단속적인 관측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고,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소모품과 관측인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윈드프로파일러'이다. 이는 시간적으로 거의 연속적으로 상층의 바람을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윈드포르파일러'는 청천요란에 의한 후방산란을 감지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도플러레이더'의 일종이다.
기상레이더 (Weather Radar) 기상레이더는 대기를 가장 상세하게 입체적이고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국지기상 실황감시 및 단시간 예보의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되고 있다. 레이더는 적 항공기 감시를 위하여 2차 대전 중에 개발된 후 1950년대부터 기상관측에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 후 점차 디지털화기술, 컴퓨터기술이 발전하면서 종래의 아날로그 레이더에 컴퓨터가 부착되어 지능화 되기 시작했다. 기상레이더는 반사도, 합성도, 스톰 경로, 우박지수, 강수량 수직단면도, 에코지역, 누적강수량, 도플러 기능에 의한 평균 시선 속도장, 스펙트럼폭, 연직바람 프로파일 등 다양한 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한편, 레이더 빔을 발사하는 도플러레이더 주변에 수신 전용의 바이스테틱 레이더 또는 멀티스테틱 레이더망을..
기상위성 (Meteorological Satellite) 기상위성은 정지궤도위성 8대, 극궤도위성 3대가 지구궤도에 올려져 운영되고 있다. 위성기술의 발전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기상상황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감시하면서 관측주기를 30분 또는 10분 이내로 줄이는 것이다. 둘째, 해수면온도(SST), 기온 및 습도의 연직프로파일(TIROS Operational Vertical Sounder ; TOVS) 등 보다 상세하고 정교한 탐측자료를 생성하는 일이다. 기상위성의 관측센서는 Imager, Sounder, Spectrometer, Radiometer 등이 있다.
표류부이 (Drifting Buoy) 대기의 움직임을 대상으로 하는 기상관측은 매 3시간마다 전 세계 수천 개소에서의 정규 지상기상관측과 약 900여 개소에서 하루 2~4회의 고층기상관측을 통해 지상과 고층일기도가 작성되고 현재의 대기상태가 파악된다. 또한 이 자료를 초기치로 하여 수치예보가 수행되어 미래 대기에 대한 정량적 예측이 가능하다. 해양에 대해서도 이처럼 실시간으로 또한 정규적으로 측정되어 현 상태가 파악되고 수치예보에 의해 정량적으로 미래의 해양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 표류부이에 의한 ARGO (Array for Real-time Geostrophic Oceanography) 계획이다. ARGO 계획은 일정시간 마다 (약 10일) 해양중층 (약 2,000 m)까지 가라앉았다가 다시 떠오르며..
ACARS (항공기 통신 지정수신 및 보고시스템) ACARS는 Aircraft Communication Addressing and Reporting System을 줄인 약어로써 운항중인 항공기와 지상국간의 음성통신을 데이터통신화한 시스템이다. ACARS는 항공기 장착장비, 지상정보망, 지상 Host Computer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의 Host Computer는 필요정보를 항공기에 보내고 또한 항공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집 분배한다. ACARS의 기상자료는 항공기의 위치별 풍향풍속, 기온, 습도 등 기본적 요소 이외에 난류, 착빙, 뇌우, 먼지보라, 화산재, 구름, 화산분출, 우박, 적란운 등이다.
에어로존데 (Aerosonde) 에어로존데는 호주에서 1992년에 개발된 장비로써 1995년 해양 대륙 뇌전 실험관측사업 (Maritime Continent Thanderstorm Experiment ; MCTEX)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완전 실용화는 1998년에 이루어졌고, 그 후 많은 실험관측에 이용되었다. 에어로존데는 소형무인항공기에 센서를 탑재하여 사람에 의한 관측이 어려운 곳에 대해 기구에 의한 라디오존데 관측과 비교할 수 있는 양질의 관측자료를 얻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에어로존데는 날개 길이 3m에 무게 15 kg 정도로, 10~20 cc의 가솔린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 7,000 km 범위까지 3~5 일간 비행이 가능하다. 운항은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항행이 가능하고 관측요소는 바람, 기압,..
- Total
- Today
- Yesterday
- 서울대학교
- 수치모형
- CCSM3
- 기후변화
- AGCM
- Scientific Visualization
- cluster
- 과학가시화
- Reanalysis
- Linux
- 연세대학교
- 수치예보
- 초단기
- Tide
- 쓰나미
- POP1
- WWW
- CGCM
- 재분석자료
- Tsunami
- 해양순환모형
- 조석
- OGCM
- 대기순환모형
- Ocean Circulation
- GFDL
- Numerical Models
- 수치모델
- 접합모형
- Numerical Mode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