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김동훈(Dong-Hoon Kim)'s Blog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김동훈(Dong-Hoon Kim)'s Blog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68)
    • 전공 관련... (138)
      • News & Knowledge (37)
      • Climate Change (3)
      • NWP(수치예보) (4)
      • 초단기 예측 (2)
      • Ocean Circulation (2)
      • Monograph (80)
      • 전공:기타 (10)
    • 수치모형 (45)
      • CGCMs (9)
      • OGCMs (11)
      • AGCMs (13)
      • 인공지능 (3)
      • Utils (2)
      • 수치모형:기타 (5)
    • 자료 및 분석 (13)
      • Topog | Depth (3)
      • Obs. | Reanal. (4)
      • Simulation Data (0)
      • Analysis Methods (3)
      • Scientific Visualization (2)
      • 자료분석:기타 (1)
    • 컴퓨터 관련... (42)
      • Programing (8)
      • Linux | Unix (6)
      • Supercomputer (1)
      • Server (14)
      • Graphics (2)
      • Utilities (3)
      • PDA | HPC (2)
      • Misc. (3)
      • PDS (0)
    • Misc. (29)
      • 업무 관련... (2)
      • 외국어 (4)
      • 과학상식 (7)
      • 일반상식 (16)
      • Gallery (0)
  • 방명록

컴퓨터 관련.../Linux | Unix (6)
파일 크기 제한하여 tar 묶기

3MB 이하의 화일들만 묶어서 압축하기 : % tar cvfpz ../backup.tar.gz2 "\`find . -maxdepth 10 -follow -type f -size -3M\`" # ""는 화일 이름 중에 스페이스 등의 특수문자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한 것임. # -maxdepth n : 0이 아닌 경우 정수 값으로 경로 깊이를 지정하여 검색 # -follow : 심볼릭 링크된 디렉터리도 검색1기가씩 용량 별로 묶어서 압축하기 & 풀기 : % tar cvf - dir_name | split -b 1000m - dir_name.tar. 또는 % tar 의 -M --multi-volume 을 사용. % cat dir_name.tar* | tar xv -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14. 10. 1. 12:34
파일명이 이상한 파일 지우기 (리눅스)

리눅스나 유닉스 시스템에서 가끔 보면, 파일명이 이상한 기호로 작성되어 지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우면 됩니다. %ls -i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10. 3. 12. 12:58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MPI 설정 방법

여기에서는 MPICH2를 기본으로 설명을 하며, 이탤릭체로 되어 있는 것은 각자의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이름입니다.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설정 방법은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관리 : http://www.dhkim.info/238 특히, 위 글의 "3. 노드간 무인증 접속 설정"을 제대로 해 주어야 합니다. 노드간 무인증 접속은 ssh와 rsh의 2가지 방법이 있는데, MPI에서는 기본으로 ssh를 지원하며, rsh를 사용할 경우는 옵션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mpdboot를 위한 설정을 해 주어야 하는데 우선은 ".mpd.conf" 화일을 생성해 줍니다. %cd ~; echo MPD_SECRETWORD=hostname > .mpd.co..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09. 9. 23. 11:47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관리

사용자 계정 생성 - 1 클러스터에서 사용자 계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노드별로 모두 같은 ID의 사용자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자동으로 해주기 위해서 NIS를 사용한다. NIS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서 사용자를 생성하면 된다. [NIS 관련] 참고 : http://blog.n-nuri.com/460 NIS를 사용하는 클러스터에서의 사용자 추가 우선 서버측에서 사용자를 추가한다. #useradd 사용자ID 또는, #useradd -c "계정 설명" -m -d /home/사용자ID 사용자ID #passwd 사용자ID NIS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다음을 실행 #make -C /var/yp 사용자 암호 및 쉘 변경 #yppasswd 사용자ID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08. 2. 14. 20:14
리눅스 프로그램 인스톨 방법

Debian : dpkg -i pkg.deb RPM : rpm -Uvh pkg.rpm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07. 11. 22. 11:42
현재 서버의 Linux 배포판을 아는 방법

레드햇 계열인 경우 : /etc/redhat-release 일반 Linux 계열 : /etc/issue, /proc/version lsb를 지원하는 경우 : lsb_release -a debian /etc/debian_release, /etc/debian_version red hat /etc/redhat-release, /etc/redhat_version fedora core /etc/fedora-release gentoo /etc/gentoo-release suse /etc/SuSE-release mandrake /etc/mandrake-release slackware /etc/slackware-release, /etc/slackware-version yellow dog /etc/yellowdog-re..

컴퓨터 관련.../Linux | Unix 2007. 11. 22. 11:3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Profile: 후니가 걸어온 길
  • 사진:2002월드컵(이탈리아전)
  • 인사말 | あいさつ | Greeting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Virtual Domicile of Steven K. …
  • Oceanography resources
  • 김동훈(Dong-Hoon Kim)'s Blog
TAG
  • 조석
  • 해양순환모형
  • OGCM
  • cluster
  • 연세대학교
  • 접합모형
  • CGCM
  • 기후변화
  • CCSM3
  • Numerical Model
  • Reanalysis
  • Linux
  • Numerical Models
  • 수치모형
  • 재분석자료
  • 서울대학교
  • 쓰나미
  • WWW
  • GFDL
  • 과학가시화
  • Scientific Visualization
  • 대기순환모형
  • POP1
  • 수치모델
  • AGCM
  • 수치예보
  • 초단기
  • Ocean Circulation
  • Tsunami
  • Tide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