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MS의 최신 버전인 V3.6r964 (2019년 5월 1일 배포)을 이용하여 2018년 8월에 발생한 태풍 솔릭(Soulik) 시기의 해양순환을 모의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실었습니다.. ROMS 모의를 시도하면서 발생되는 각 종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까지 자세히 설명해 놓았으니 천천히 따라하시기만 하면 모의에 성공 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상세한 내용은 저의 github 홈페이지에 연결된 블로그를 방문해 주세요. 이 페이지를 빠져나가서 직접 이동하시려면 아래 링크로 가세요. [ROMS 로 태풍 솔릭(Soulik) 시기의 해양순환 모의해 보기]
아래글의 편집권은 김동훈에게 있습니다. [OGCM 소개] 전지구 대순환모형(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OGCM)은 수치계산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부분 정수역학을 따르는 원시방정식(hydrostatic primitive equations)을 사용한다. 연직방향으로 지오포텐셜(z- or height) 좌표계를 사용하는 모형들이 가장 많으며 최근에는 지형추적(terrain-following, )과 등밀도(isopycnal)에 따른 좌표계를 사용하는 모형들도 개발되고 있다. 전지구 대순환모형에서 사용되는 일반화된 비점성 정수역학 원시방정식은 다음과 같으며 는 지오포텐셜 좌표계의 경우 , 지형추적 좌표계의 경우 , 등밀도 좌표계의 경우 를 의미한다. 해양순환모형에는 전지구 ..
설치 전에 다음과 같이 환경변수를 설정하면 아래 내용을 따라하기 쉽습니다. %setenv HYCOMHOME ~/models/HYCOM/hycom (회원가입 후 내려받기) http://hycom.org/account-request 에서 회원가입을 한다. 주의) 이름이 ID로 되므로 공백없이 이름을 써야 한다. http://hycom.org/hycom/source-code 에 로그인 후 "hycom_2.2.18_ALL.tar.gz" 또는 "hycom_2.2.18_ATLb.tar.gz"을 내려받는다. (회원가입 없이 내려받기) 회원가입을 원치 않으면 다음 주소에서 받을 수도 있으며, http://code.google.com/p/hycom/downloads/list (Google Code: 오픈소스 프로젝트 호..
설치전에 다음과 같이 환경변수를 만들어 놓으면 아래 설명을 따라하기가 쉬워집니다. %setenv ROMSHOME ~/models/ROMS/roms3.5 http://www.myroms.org에서 register를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한다. ROMS는 일반적으로 배포되는 *.tar.gz 형식으로 소스코드를 배포하지 않는다. Subversion 이라는 소스코드 관리툴로만 제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받을 수 있다. %svn checkout --username your_ID https://www.myroms.org/svn/src/trunk \$ROMSHOME 위 명령을 실행하면 암호를 묻게 되는데 회원가입 시 만든 암호를 사용하면 된다. 참고) subversion에서 trunk는 최신버전을 ..
### 여기에서는 '07년 12월 이후에 2년만에 다시 공식적으로 제공('09.12.18)한 "mom4p1_pubrel_18dec2009"와 "om3_core"의 실험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합니다. 공식 발표전에 작성한 "mom4p1_alpha_sep2009의 설치기"와 기본적으로 내용은 거의 비슷하지만, 알파버전을 사용하지 않고 공식버전을 바로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중복된 부분도 설명합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되거나 수정된 부분은 녹색으로 표시하여 구분하도록 하겠습니다. ### [설명 필요 없이 그냥 설치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따라하면 됩니다.] cd ~/models/MOM; tar xvzf mom4p1_pubrel_18dec2009.tar.gz cd mom4p1_pubrel_18dec2009; m..
### 여기에서는 '09년 11월 현재의 최신 버전인 "mom4p1_alpha_sep2009"와 "om3_core"의 실험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합니다. ### [설명 필요 없이 그냥 설치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따라하면 됩니다.] cd ~/models/MOM; tar xvzf mom4p1_alpha_sep2009.tar.gz cd data; tar xvzf om3_core3.input.tar.gz; cd .. cd mom4p1_alpha_sep2009/exp #./mom4p1_coupled_compile.csh, ../bin/mkmf.template.???, ../bin/environs.??? 를 알맞게 수정 ./mom4p1_coupled_compile.csh >& compile.msg # 컴파일 하여 ..
다음은 "mom4p1_pubrel_28dec2007" 버전의 ebm case 컴파일 방법입니다. 시스템 : Cray XD1 리눅스 서버 컴파일러 버전 : mpif90 (pgi-6.0.8) 'exp/mom4p1_ebm_compile.csh' 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set platform = pgi cc -O -o \$mppnccombine -I/your_NETCDF_path/include -L/your_NETCDF_path/lib ... edit 'bin/mkmf.template.pgi' FC = mpif90 CPPFLAGS = FFLAGS = -O2 ...... -I/your_MPICH_path/include -I/your_NETCDF_path/include * PGF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O2" ..
죄송... 나중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개인적으로 연락 주세요. ^-^
- How to set up MOM2 1.%setenv MOMpath /usr1/ocean/MOM/MOM_2.2%mkdir $MOMpath/EXP/GLOBE%mkdir $MOMpath/EXP/GLOBE/MOM_UPDATES $MOMpath/EXP/GLOBE/PREP_UPDATES 2.%cd $MOMpath/EXP/GLOBE/MOM_UPDATES%cp $MOMpath/grids.F .%cp $MOMpath/run_grids .-> run_grids를 편집하여 "OPTIONS" 변수의 마지막에 "-Dsgi"를 추가한다.-> run_grids를 편집하여 "MOM2" 변수를 위의 "MOMpath"와 같게 고쳐준다.-> grid resolution과 region을 바꾸려면 grids.F를 알맞게 편집한다 (man..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석
- CGCM
- Scientific Visualization
- CCSM3
- Numerical Model
- OGCM
- 수치모델
- Tide
- 접합모형
- WWW
- 서울대학교
- Tsunami
- Numerical Models
- 수치예보
- 과학가시화
- AGCM
- 해양순환모형
- POP1
- 수치모형
- 기후변화
- 대기순환모형
- Ocean Circulation
- GFDL
- 재분석자료
- Linux
- 쓰나미
- Reanalysis
- 초단기
- cluster
- 연세대학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