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본 연구 내용은 한국기상학회의 2017년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초록을 옮긴 것입니다.
기상관측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관측자료들은 운영의 복잡함에 따라 지연수신이 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관측지점이 많아 질수록 모든 자료가 수신되는 데에는 그 만큼 지연시간이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기준시간을 넘어서 미수신되는 관측자료를 대체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들어, 기상예측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료동화에 있어서 미수신되는 관측자료를 대신하여 자료동화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신된 관측자료의 1차 품질관리에도 사용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바람 관측자료의 10분에서 60분 내의 미래 관측치를 예측한다는 것은 항공기 이착륙과 같은 초단기 예측이 필요한 분야에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기상청에서는 레이더 자료와 위성 자료 등을 이용한 실황 또는 초단기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예보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예측 시스템들은 기본적으로 내·외삽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좀 더 선진방법으로 초단기 순환모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국지적으로 짧은 시간에 발생 또는 소멸되는 기상 시스템에는 예측성능을 높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개발 방법과는 다른 인공신경망 딥러닝을 이용한 초단기 예측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저의 github 홈페이지에 연결된 블로그를 방문해 주세요. 이 페이지를 빠져나가서 직접 이동하시려면 아래 링크로 가세요.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한 영종도의 초단기 풍속 예측성 연구]
- Total
- Today
- Yesterday
- OGCM
- Ocean Circulation
- Scientific Visualization
- 조석
- 쓰나미
- AGCM
- Numerical Model
- CCSM3
- WWW
- CGCM
- Reanalysis
- 연세대학교
- 수치예보
- 과학가시화
- 수치모델
- Tsunami
- Numerical Models
- Linux
- 접합모형
- Tide
- 대기순환모형
- 서울대학교
- 초단기
- cluster
- 해양순환모형
- POP1
- 재분석자료
- 기후변화
- GFDL
- 수치모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