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기본 vi를 보존하기 위하여, 새로운 vim은 $HOME/local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wget ftp://ftp.vim.org/pub/vim/unix/vim-7.4.tar.bz2% cd $HOME/local ; tar -xvjf vim-7.4.tar.bz2 ; cd vim74% ./configure --prefix=$HOME/local --with-features=big # multi-byte features for Hangul --enable-perlinterp=yes --enable-pythoninterp=yes --enable-python3interp=yes --enable-rubyinterp=yes --enable-luainterp=yes --enable-mu..
3MB 이하의 화일들만 묶어서 압축하기 : % tar cvfpz ../backup.tar.gz2 "\`find . -maxdepth 10 -follow -type f -size -3M\`" # ""는 화일 이름 중에 스페이스 등의 특수문자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한 것임. # -maxdepth n : 0이 아닌 경우 정수 값으로 경로 깊이를 지정하여 검색 # -follow : 심볼릭 링크된 디렉터리도 검색1기가씩 용량 별로 묶어서 압축하기 & 풀기 : % tar cvf - dir_name | split -b 1000m - dir_name.tar. 또는 % tar 의 -M --multi-volume 을 사용. % cat dir_name.tar* | tar xv -
Install libeventbrowse http://libevent.org and download the latest version of libevent.tar zxf libevent.tar.gzcd libevent./configure --prefix=/usr/localmake && make installInstall ncursesbrowse http://ftp.gnu.org/gnu/ncurses and download the latest version of ncurses.tar zxf ncurses.tar.gzcd ncurses./configure --prefix=/usr/localmake && make installInstall tmuxCygwin :install autoconf, automak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여기에서는 MPICH2를 기본으로 설명을 하며, 이탤릭체로 되어 있는 것은 각자의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이름입니다.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설정 방법은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관리 : http://www.dhkim.info/238 특히, 위 글의 "3. 노드간 무인증 접속 설정"을 제대로 해 주어야 합니다. 노드간 무인증 접속은 ssh와 rsh의 2가지 방법이 있는데, MPI에서는 기본으로 ssh를 지원하며, rsh를 사용할 경우는 옵션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mpdboot를 위한 설정을 해 주어야 하는데 우선은 ".mpd.conf" 화일을 생성해 줍니다. %cd ~; echo MPD_SECRETWORD=hostname > .mpd.co..
사용자 계정 생성 - 1 클러스터에서 사용자 계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노드별로 모두 같은 ID의 사용자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자동으로 해주기 위해서 NIS를 사용한다. NIS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서 사용자를 생성하면 된다. [NIS 관련] 참고 : http://blog.n-nuri.com/460 NIS를 사용하는 클러스터에서의 사용자 추가 우선 서버측에서 사용자를 추가한다. #useradd 사용자ID 또는, #useradd -c "계정 설명" -m -d /home/사용자ID 사용자ID #passwd 사용자ID NIS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다음을 실행 #make -C /var/yp 사용자 암호 및 쉘 변경 #yppasswd 사용자ID
원문 : http://whitestar.tistory.com/1174223314 1. http://www.w3.org/Math 를 참조하고, 다음의 링크에 가서 ASCIIMathML.js 를 받는다. http://mathcs.chapman.edu/~jipsen/mathml/asciimathdownload.html 2. 티스토리의 블로그 -> 관리자 또는 글쓰기 -> 스킨 -> 직접 올리기에 업로드 시킨다. 3. 자신의 스킨을 편집하여 사이에 다음을 추가한다. 4. 잘 사용한다. ^^ 어떻게 잘 사용하는지는 다음의 링크에 들어가보면 잘 나와 있다. http://www1.chapman.edu/~jipsen/mathml/asciimath.html 단,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사용자 중에는 mathplayer..
레드햇 계열인 경우 : /etc/redhat-release 일반 Linux 계열 : /etc/issue, /proc/version lsb를 지원하는 경우 : lsb_release -a debian /etc/debian_release, /etc/debian_version red hat /etc/redhat-release, /etc/redhat_version fedora core /etc/fedora-release gentoo /etc/gentoo-release suse /etc/SuSE-release mandrake /etc/mandrake-release slackware /etc/slackware-release, /etc/slackware-version yellow dog /etc/yellowdog-re..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치예보
- 대기순환모형
- Tide
- 수치모델
- 쓰나미
- CGCM
- 조석
- AGCM
- 재분석자료
- POP1
- Numerical Model
- Numerical Models
- 과학가시화
- 해양순환모형
- Reanalysis
- CCSM3
- 서울대학교
- 초단기
- OGCM
- 수치모형
- WWW
- 접합모형
- cluster
- Linux
- 연세대학교
- GFDL
- Ocean Circulation
- Scientific Visualization
- 기후변화
- Tsunam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